설악산 흘림골 한계령에서 오색까지 8km를 구비구비 돌고돌아 내려가는 44번 국도는 남설악의 웅장한 풍경이 장관을 이룬다. 한계령 서쪽에 위치한 남설악 점봉산의 깊은 계곡인 흘림골, 워낙 골이 깊고 깊어서 늘 날씨가 흐린 듯하다 하여 붙여진 흘림골, 여름철의 시원한 계곡과 가을철의 아름다운 단풍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찾는 흘림골, 2012년 2월 12일, 기기묘묘한 암봉들이 벌거벗은채로 아름다운 속살을 뽐내고 있는 흘림골을 찾았다. 흘림골탐방소-여심폭포-등선대-십이폭포-성국사-오색주차장으로 이어지는 3시간의 환상적인 계곡을 따라 가봅니다.
2012년 2월 12일 오전 10시 35분... 강원도 양양과 인제를 가르는 한계령에서 10여분 내려오면 산행들머리인 흘림골탐방소앞에서 많은 산행객들이 아이젠이며 산행준비에 한창이다.
탐방소 좌측으로 산행을 시작합니다. 산행로는 계단으로 잘 정비되어 있고, 차가운 바람이 불긴하지만 화창한 날씨덕에 산행엔 큰 불편이 없는것 같다.
흘림골 계곡을 따라 25분 정도 오르면 만나게 되는 여심폭포. 높이 20여m의 작은 폭포로 물줄기도 약하기도 하지만 그 모양이 여인의 거시기와 닮았다하여 흘림골의 명소가 되었다. 물줄기 마저 얼어붙은 모습이 참 거시기 합니다.
11시 15분... 등선대 도착. 좌측의 전망대를 올라야했지만 우리 일행들이 내려갔다는 얘기를 듣고 그대로 하산함.
등선대에서 주전골로 내려가는 길은 거의 계단이 설치되어 있어 주변의 절경들에 감탄하면서 여유롭게 하산함. 흘림골과는 달리 이쪽은 바람한점 없고, 햇살마저 겨울답지 않게 따스하기만 하다.
설명하는 것 조차 누가 되는 것 같습니다.
계단이 잘 설치되어 있어 산행하기엔 좋았지만 왠지 설악의 풍경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 흉물처럼 느껴지기만 합니다.
몇년전 가을에 와서 사진 촬영중 미끄러져 죽다 살아난 그 현장입니다. 보기만 해도 아찔하네요 ㅎㅎ
12시... 예전 애국가에 나왔던 만물상, 그 만물상을 한눈에 볼수있는 전망대에서 기념샷 한장 남겼습니다. 가을 단풍이 들면 정말 아름다운 곳인데...
암봉위에 솟은 소나무, 그 질긴 생명력과 신비로움이 경이롭습니다
주전골의 비경중 하나인 십이폭포, 여름철 시원한 물줄기를 상상해 봅니다.
주전골의 자랑거리 용소폭포
금강문, 주전골의 한 가운데 위치한 이곳을 지나면 십이폭포, 용소폭포 등 주전골의 아름다움을 즐길수 있다하여 금강문이라 부른다 합니다. 옛부터 불교에서는 아름다움으로 잡귀들을 미치지 못하게 한다고 생각했으며, 금강산에는 5개의 금강문이 있다고 합니다.
좌우로 늘어선 암벽의 위용에 질식 할 지경입니다.
독주암과 칠형제바위(?)
가운데 보이는 바위가 독주암. 주전골 입구에 있는 이 암봉은 정상에 한 사람만 겨우 앉을 수 있다하여 독주암 이라 불린다 합니다.
오후 1시... 성국사 도착. 겨울이라 쓸쓸하기만 합니다.
주전교에서 바라본 설악산
하얗게 덮힌 산이 점봉산???
오후 1시 20분... 설악산 오색지구 입구. 여기서 5분 거리에 주차장이 있습니다. 총 산행시간 약 3시간. 점심은 건너 뛰었지만, 사진 박고 절경 구경하면서 편안한 산행이였습니다. 가을철의 화려함도 좋치만 남설악의 아름다움을 속속들이 드려다 볼 수 있는 흘림골-주전골의 겨울산행도 참 좋은 산행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홍천 백우산, 계곡산행으로 굿~ 무더위가 막바지로 치닫는 말복~용소계곡으로 유명한 강원도 홍천에 있는 백우산을 찾았다.
홍천군에서 새롭게 세워논 정석석, 대리석을 해놓아 깨끗하기는 하지만 주변환경과는 그리 어울리는것 같지 않다.
산행들머리인 가족마을
오전 9시, 해발 580m의 산행들머리 초입부터 오르막으로 시작한다. 여름철이라 습도가 높고, 바람이 없어 심한 오르막은 아니지만 힘이 든다.
그나마 강원도 산의 특징인 울창한 숲이 있어 위안으로 삼는다.
1시간만에 도착한 전망대, 하지만 짙은 운무로 조망이 좋지는 않다.
약 1시간 30여분에 정상에 도착, 잡목과 잡풀로 둘려쌓여 역시 조망이 좋지 않다.
오랫만에 만난 옥구슬님~반가웠습니다.
정상에서 하산길을 잘못 안내하는 바람에 10여분 하산했다가 다시 빠꾸해서 힘들게 내려온 십자로 갈림길, 우측으로 하산
쭉쭉뻗은 잣나무 숲이 장관입니다. 하지만 앞을 가로막는 수풀이 산행을 짜증나게도 합니다.
12시 20분경 용소계곡에 도착하여 점심식사 후 계곡을 건내는 회원님들, 상류쪽이지만 수량이 많이 불어나 반대편으로 건너기가 조심스럽다. 난 속옷이 젖는 것이 싫어 건너지 않고 계곡길을 따라 하산하였지만 그것이 옳은 결정이란 것을 나중에야 알았다.
지금은 V자를 그리며 미소 짖고 있지만 곧이어 산행로가 없어 엄청 고생했다고 하니...한치 앞을 볼 수 없는것이 인간입니다.ㅎㅎ
하나 둘 고생길로 들어서고 있습니다~ㅎㅎ
많은 수량에 계곡으로 풍덩빠져 들고 쉽지만 하산길이 너무 길고 지루하여 지금은 빨리 하산하고 픈 심정뿐이다.
대부분 회원들은 강을 건너서 하산하는 바람에 아무도 없는 길을 혼자 내려가자니 때론 외롭고, 무섭기도 하였지만 가끔 만나게 되는 사람 허리 높이의 산죽군락이 모든 힘든 산행을 잊게 해 준다.
애초 5시간 예정된 산행이 선두그룹 약6시간, 후미쪽은 약7시간 30여분이나 걸리는 긴 산행이였다. 6년전에 와서 좋은 기억이 있었던 곳인데 오늘은 힘든 산행이였다. 특히 계곡이 끝나고 버스가 있는 경수동 마을 다리앞까지... 30도를 웃도는 땡볕에 30여분의 아스팔트길은 정말 고역이였다. 매봉앞 갈림길에서 하산하다 오른쪽 촛대바위쪽으로 하산하였다면 계곡에서 알탕하며 산행하여도 4시간 정도면 되었을텐데 하는 진한 아쉬움이 남는 산행이였다. 힘든 산행 후 계곡 다리밑에서 시원한 물에 발 담그고 먹는 삼계탕은 정말 별미였습니다. 잘 먹었습니다. 음식 준비하신 회원님과 조금은 힘들었지만 그나름대로 즐건 추억 맹글어 주신 하나로산악회 회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2010. 08. 08. 파란별
8) 갈증도 나고...중간에 물 담을만한 곳이 없으므로 식수를 충분히 준비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저도 물 1리터 가져갔는데 물이 떨어져 고생 좀 했습니다.
9) 뭔 바위인지 몰라도 을지행님이 멋있다고 해서 저도 한장 박았습니다.
10) 12선녀탕인데 선녀는 없더라고요~
11) 선녀탕 구경하기 위해 모인 등산객들...
12) 아마도 산행중 제일 위험한 코스 같습니다. 계단이라도 만들어 놓았으면 좋으렸만... 혼잡하기도 하고 미끄러워 조심조심...
13) 4시간 30분의 하산길이지만 계단이 만들어져 있어 산행하기엔 큰 어려움이 없는것 같습니다.
14) 몇년전의 폭우로 인한 상처가 아직도 곳곳에 남아있어 마음이 아프네요.
15) 설악산 12선녀계곡, 총 산행시간 은 6시간 30분 정도 소요되지만 처음 오를때 약 2시간(후미그룹)정도 오르막에 힘이 들지만 잘 정비된 산행로와 시원한 계곡으로 언제나 와도 좋은 산행지 같습니다. 단지 겨울엔 조금 미끄러워 힘들것 같기도 합니다. 내년쯤 늘푸른에서도 한번 가면 좋겠습니다. 좋은산행 이끌어주신 해동산우회에 감사드립니다. 잘있거라 설악산 12선녀계곡아~~~